회기역치과 무치악 상태로 오래 방치되었다면?
안녕하세요🦷
입니다!
이는 치아의 뿌리 역할을 해줄
치아의 머리 역할을 해줄
순서를 나눌 수 있는데요.
오늘은 지난번 소개해 드린 포스팅에
이어서 임플란트 치료의 보철 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써볼까 해요.
해당 환.자는 심한 치주질환으로 인해
자연치를 잃게 되어
상악동 거상술 측방 접근법을 동반한
임플란트를 시행하게 된 분인데요.
다수의 어금니가 빠진 채로
오랜 시간 방치되어 계셨기 때문에
보철 과정을 단계적으로
시행할 수 밖에 없었어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
차근차근 임상 사진과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위 사진은 처음 서울저스트치과에
내원하셨을 당시의 엑스레이 영상이에요.
왼쪽의 위/아래에 어금니가
하나씩 밖에 남지 않은 상태였는데요.
더 이상 기능을 할 수 없는 치아까지
모두 발치를 한 후에
총 9개의 임플란트를 심어주었어요.
수술을 끝내고 확인을 위해
촬영한 엑스레이 영상이랍니다.
식립을 마친 후에는 이식된 뼈가
주변의 기존 잇몸뼈와 잘 붙고,
인공 치근이 잇몸뼈에 단단하게
융합될 수 있도록 약 4개월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주었어요.
그리고 보철 과정을 시작하기 위한
단계가 진행되었는데요.
보철물을 올리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잇몸 속에 묻혀 있는
인공 치근의 연결부위를 밖으로
노출시켜 줄 필요성이 있어요.
따라서 간단한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요.
이를 2차 수술이라고 부른답니다.
2차 수술을 완료한 후에 촬영한 영상이에요.
인공 치근 상부에 하늘색 동그라미로
표시된 부분이 힐링 어버트먼트에요.
이후 힐링 어버트먼트의 외형에 맞게
잇몸이 치유되는 것을 기다린 후
순차적으로 보철 제작을 위한
본뜨기(인상채득)를 진행했어요.
다만,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환.자분께서는 2개의 치아를 제외한
모든 어금니가 상실된 채로
오래 방치되어 있던 상태이기 때문에
위/아래의 교합 상태가
상당히 불안정했는데요.
치료를 통해 이를 명확하고,
안정적으로 교정하여 보철을
만들어드리기 위해
인상채득을 한 번에 시행하지 않고,
남아있는 왼쪽 위/아래의
두 번째 큰 어금니를 기준으로 삼아
좌/우측 어금니 부위와 앞니 부분을
따로따로 본을 떴답니다.
그러나 인상채득을 통해서
바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지는 않았어요.
최종이 아닌 임시치아를
먼저 제작하여 맞춰드렸는데요.
임시치아를 올리기 전에는
치유 지대주를 제거한 후
임시치아의 연결을 위해
인공 치근에 중간 지대주를 체결했어요.
위 사진은 중간 지대주를 체결하고,
내부 나사 선에 맞게 제대로
체결되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촬영한 엑스레이인데요.
그 후 임시치아를 통해
여러 부분을 체크해보고,
시기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최종 보철물을 제작했어요.
최종 보철물 역시
단계적인 체크를 위해
큰 어금니 부분 먼저 보철물을
올려드렸는데요.
어금니를 맞춘 후 순차적으로
앞니 보철물도 제작을 시행했어요.
위 사진은 치료 전후를
비교해 본 모습이에요.
아무래도 오랫동안 치아가
빠져있었기 때문에 최종 보철물을
모두 연결해 드린 직후에는
환.자분께서 상당히 어색해하셨는데요.
임플란트는 치료가 끝났다고 해서
모든 것이 종결되는 게 아니에요.
인공 보철물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의 장점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완료된 후에도 반드시
주기적인 체크가 시행되어야 하는데요.
당일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회기역치과에는
밖에 없다는
보건복지부인증
대표원장님께서
상주하고 계시기 때문에
짧은 수술 시간 내에 다수의 임플란트를
안정적으로 식립 받아보실 수 있어요.
문제 없는 임플란트를
오랫동안 유지하고 싶다면
본.원에 내원해 보시길 바라요.
이상 오늘도 서울저스트치과였습니다!
*모든 증례 사진은 의료법 제23조, 제 56조에 의거하여 환자분의 동의 하에 업로드가 진행되었습니다.
*치료 사진은 모두 본원에서 치료한 환자분의 사진입니다.
*치료 사진은 모두 동일인의 사진이며, 동일조건에서 촬영하였습니다.
*개인의 차이에 따라 시술 및 수술 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